본문 바로가기
728x90

경제 이야기/세금의 정석4

[세금의 정석] 04. 드디어 발표된 연금 개혁안 정말 더 내고 더 받을까? (기초연금,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 보건복지부, 국민연금심의위원회 열어 「연금개혁 추진계획」 확정 - - 제5차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23.10)에 이어 후속 방안 발표 - 24년 9월 4일, 드디어 연금 개혁안이 발표됐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연금 개혁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우리에게 어떤 영향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정보는 게시일 기준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자세한 출처는 각 내용 하단의 출처 표기를 확인해주세요.목차1. 연금 개혁안 한눈에 보기2. 연금 개혁이 필요한 이유3. 국민연금 개혁안 4. 퇴직연금 개혁안5. 개인연금 개혁안6. QnAQnA * 답변은 게시글 하단에서 확인하세요Q. 기초생활수급자도 무조건 국민연금 가입이 의무인가요?Q. 아직 또는 지금은 직장이 없는데 국민연금 가입할.. 2024. 9. 8.
[세금의 정석] 03. 직장인 필수 상식, 퇴직연금 - DB형, DC형, 개인형 퇴직연금(IRP) 먼 미래처럼 느껴질 수 있는 퇴직연금, 여유로운 노후 생활을 꿈꾼다면 꼭 알아야 합니다. 월급, 근속연수 똑같은 동기가 나보다 퇴직금이 많을 수 있다고? 친구는 DB형을 이번에 DC로 바꾼다는데, 나도 바꿔야 하나? 모든 정보는 게시일 기준으로 수집되었으며, 자세한 출처는 각 내용 하단의 출처 표기를 확인해주세요.목차0. 노후를 위한 연금 3층 구조1. 퇴직급여제도 (퇴직금/퇴직연금제도)2. 퇴직연금제도 종류 (DB형, DC형, 개인형퇴직연금 IRP)3. 한눈에 보는 퇴직급여제도 비교 0. 노후를 위한 연금 3층 구조노후를 위한 연금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기초적인 생활 수준을 보장해 주는 국민연금과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하는 퇴직연금, 그리고 좀 더 여유로운 노후를 계획한다면 개인연금까지 3층으로.. 2024. 9. 1.
[세금의 정석] 02. 소득세 기본 (종합소득, 분리과세, 원천징수, 누진세율) 직장인에게는 익숙한 근로소득, 매번 회사를 통해 연말정산 하는 것이 이 근로소득에 대한 소득세를 정산하는 것인데요. 그럼 근로소득 외 주식으로 인한 소득이나, 부동산으로 인한 소득, 은퇴 후 연금소득이 생기게 되면 그때도 연말정산으로 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그때부터는 우리 직접 우리가 번 소득에 대해 신고를 해줘야 합니다. 회사에서 연말정산만 하다가 어느 순간부터 직접 종합소득세나 양도소득세, 퇴직소득세를 신고하려니 세무사를 통하지 않는 이상 많은 실수가 생길 수밖에 없는데요. 실수로 인해 세금폭탄을 맞고 나서 공부하기 보단, 그전에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겠죠. 적어도 이해만 제대로 해 두어도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내가 어떤 부분을 문의해야 할지' 파악할 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세금 신고.. 2024. 8. 31.
[세금의 정석] 01. 세금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 (직장인 필독! 누진세율? 자산이 많아질수록 세금을 많이 낸다?) 직장 열심히 다니고 있는데 왜 때려 ㅡㅡ 근데 사실 종합소득세 뭔지 잘 모름 ㅎㅎㅠ 그래서 준비한 직장인이라면 알아야 할 필수 세금 상식!!!!!!!1탄 입니다. Part1. 세금의 종류 / 누진세율헌법 제 38조[납세의 의무]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납세의 의무를 진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꼭 내야 하는 세금. 우리나라의 세금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14개의 국세와 11개의 지방세가 있습니다.이 중에 몇 가지만 간략히 알아도 세금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직장인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세금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데요.소득세내가 벌어들이는 모든 소득에 붙는 세금 (이자, 배당, 사업, 근로, 연금, 퇴직, 양도, 기타) (예시) 매달 들어오는 월급상속세누군가의 사망으.. 2024. 8.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