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세금의 정석

[세금의 정석] 01. 세금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 (직장인 필독! 누진세율? 자산이 많아질수록 세금을 많이 낸다?)

by 현명한 부부되기 2024. 8. 25.
728x90

직장 열심히 다니고 있는데 왜 때려 ㅡㅡ
근데 사실 종합소득세 뭔지 잘 모름 ㅎㅎㅠ
그래서 준비한 직장인이라면 알아야 할 필수 세금 상식!!!!!!!

1탄 <우리는 왜 세금을 공부해야 하나>입니다. 


Part1. 세금의 종류 / 누진세율

헌법 제 38조[납세의 의무]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납세의 의무를 진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꼭 내야 하는 세금.
우리나라의 세금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14개의 국세와 11개의 지방세가 있습니다.

출처. 2018 조세개요, 기획재정부, 201806

이 중에 몇 가지만 간략히 알아도 세금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직장인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세금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데요.

소득세내가 벌어들이는 모든 소득에 붙는 세금 (이자, 배당, 사업, 근로, 연금, 퇴직, 양도, 기타)
(예시) 매달 들어오는 월급
상속세누군가의 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붙는 세금
(예시)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자식들에게 이전되는 재산
증여세타인(증여자)으로부터 대가없이 재산을 받은 경우에 그 재산을 받은 사람이(수증자)가 내야 하는 세금
(예시) 부모님이 자식 결혼한다고 주는 돈 
종합부동산세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전국의 주택과 토지를 합산한 금액이 과세기준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내는 세금
(예시) 내가 가진 아파트 갯수, 가격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

그리고 이 세금들에는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누.진.세.율

('더 버는 자 더 내라'라는 뜻^^)
많이 들어보셨죠? 아래 2023년 귀속 종합소득세 세율을 예시로 볼게요.

2023년 귀속 종합소득세 세율 / 국세청

이 중 가장 첫번째 항목의 뜻을 살펴보면
내가 2023년에 벌어들인 종합소득이 1억 4천만원 이하면 6%의 세금이 붙습니다. 따로 공제는 없네요.
두번째 항목은 1.4억을 초과하고 5억 이하로 벌었다면 15%의 세금이 붙이지만 그 세금에서 126만원은 빼준다는 뜻이에요.

Q. 2023년에 내가 벌어들인 종합소득이 3억원일 때 내야하는 세금은?

1.4억 초과 5억이하니까 15%인 450만원에서 누진공제 금액인 126만원을 빼줍니다.
그럼 324만원을 납부하게 되네요.

【예시】 2023년 귀속
과세표준 3억원 × 세율 15% - 1,260,000원 = 3,240,000원

이렇듯 내가 벌어들인 소득에 따라서 6%~45%까지 세금이 붙어요.
돈을 많이 번 사람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이죠.

지금 나는 돈도 없는데 무슨 상관이냐구요?


Part2. 앞으로 우리가 내게 될 세금?

지금 우리는...

아직 2-30대이거나 사회초년생이라면 (제 기준으로) 주소득이
월급(소득세)이나 예적금 이자(소득세),
아니면 주식투자로 인한 귀여운 소득(소득세)..
그리고 더 귀여운 주식 배당(소득세) 정도입니다.
* 그마저도 이자/배당/금융소득은 너무 적어서 나가는 세금도 미미....
벌써 야무지게 집(종합부동산세)을 산 사람도 있겠죠.
아직은 내고있는 세금 종류가 소득세/종합부동산세, 미국주식을 하는 분들이라면 양도소득세 정도가 되겠네요.

그러나 앞으로 우리는...!

 결혼을 하면 남편/아내와 서로 돈이 오갈 일이 생길거고요.(증여세)
부모님의 재산을 물려 받거나 상속받을 수도 있고요. (증여세, 상속세)
집을 사게 될 수도 있어요. (취득세, 종합부동산세 등)
또 집값이나 주식이 올라서 파는 날도 있겠죠. (양도소득세)
열심히 일해서 월급이 올라가고(소득세), 투자까지 잘하면 소득이 늘어날 거고,(소득세)
그럼 재산도 늘어나고 (재산세),  가끔 명품도 사야하고 (개별소비세)
어쩌면 사업을 시작해 법인을 차릴 수도 있죠 (법인세)
퇴직하고는 연금도 받아야죠!! (소득세)
 
내야 하는 세금 종류가 훨씬 많아집니다.  그만큼 내가 셀.프.로 신고해야 하는 세금도 많아져요.
혹시라도 잘못신고 가산세에 벌금까지 붙을 수 있고요.
행복한 미래에는 세금이라는 책임이 뒤따른다는 사실...ㅠㅠ


Part3. 돈 안드는 투자 = 세금 공부

이게 바로 세금 공부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내가 집을 파는 날짜 하루 차이로도 내야할 세금이 엄청 달라질 수 있고요.
'괜찮겠지' 하며 가족들에게 이체하고 있는 돈으로 인해 세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연말정산할 때 소득공제/세액공제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우리가 내야할 세금을 어떻게 하면 더 많이 공제받을 수 있는지 안다면 큰 절세효과가 있겠죠.


 
일상 생활 속 숨어있는 세금 지식부터
열일하는 직장인들의 절세를 위한 세금 상식까지
A-Z까지 알기 쉽게 알려드릴테니 함께 세금왕 되자구요 ><
 
본격적으로 시작될 세금 이야기 두번째 편
2. 소득세 기본 편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세금의 정석' 시리즈는 매주 1회 연재됩니다.

 
 


 
 

728x90